문화예술 분야의 혁신적 인재 양성
- 문화예술 프로그램 구성 및 콘텐츠 기획·제작
- 문화예술 비즈니스를 위한 미디어·플랫폼 활용
- 문화적 감수성을 통한 문화예술 및 미디어 향유
안녕하세요? 문화예술경영학과 이경숙 교수입니다.
반갑습니다.자, 그림을 좀 보실까요. 어떤 느낌이 드세요? 이 그림은 여러분들이 아마 익히 알고 있을 겁니다.
AI가 인간 고유의 영역인 문화 예술 창작 영역에 도전해서 멋진 그림을 그려낸 구글의 AI, Deep Dream의 작품이고요.
하나는 IBM의 AI, Watson이 마르케사(Marchesa) 브랜드와 함께 만들어낸 ‘코그니티브 드레스(Cognitive Dress)’입니다.
이렇게 AI가 문화 예술의 영역에 혁신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시대입니다.<학과 교육목표> 문화예술경영학과는 그래서 4차 산업 혁명을 이끄는 문화 예술인 양성을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창의적 사고와 그 어느 때보다도 인문학적 감성이 필요한 시대죠.
그리고 그러기 위해서는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구성하고 제작할 수 있는 능력,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알 수 있어야 되죠.
지금은 1인 미디어 시대, 1인 콘텐츠 시대. 누구나 무언가를 창작하고 만들어낼 수 있는 시대라고 합니다.
그래서 여러분들이 그것을 담아내는 문화 예술 비즈니스를 위한 미디어와 플랫폼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역량 또한 강화시켜야 할 때입니다. 그래서 이런 전반적인 활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그안에 담길 사람이 문화적 감수성을 키우고 문화 예술과 미디어를 통한 향유 능력,
그것을 활용하고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능력 등을 통해서 더 풍부하고 풍성한 감성 시대의 창조적 인재로써 이 시대를 이끌 인재가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교육과정 핵심 영역> 그래서 문화예술경영학과에서의 교육과정 핵심 영역으로 이렇게 문화예술 기획·제작, 미디어·플랫폼경영, 문화예술경영이라고 하는 부분으로 나뉘고 있습니다.
기획과 제작 영역뿐만 아니라 미디어와 플랫폼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하고요.
문화예술 프로그램 등을 기획하고 운영할 수 있는 문화예술 마케팅이라든지 재원 조성이라든지 정책이라든지 그와 관련해서 공통적으로 문화예술의 전통적인 지식, 문화 예술사, 혹은감상비평 능력, 경영학적 지식, 그리고 향유능력들을 공통적으로 갖추려고 합니다.
<현장성 강화 프로그램> 그래서 이러한 비즈니스적 지식과 문화예술 공통 이론과 향유 능력 그리고 미디어 플랫폼 지식과 문화 예술 경영지식과 더불어서 현장성을 강화할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만들려고 합니다.
현장에 전문가들을 모셔서 Culture&Insight라고 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예술가 초청 특강과 또 Culture Technology 특강 등을 연례적으로 시행하려고합니다.
더불어서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 현장 곳곳을 탐방하고 참여해서 문화적 감수성을 키우기 위해서 박물관 탐방이라든지 역사문화 현장 탐방 그리고 공연기획 워크샵이라든지 공공예술프로그램 운영 워크샵을 참여해서 실질적인 능력과 감수성을 키우는 프로그램들을 만들려고 합니다.
더불어서 현재 재학생과 동문들이 현장에 참여하면서 문화적 감수성을 키우고 그 능력들을 개발하고 있는데요. 매달 K 문화 스튜디오라고 해서 그 박물관을 간다든지 문화 역사 현장을 간다든지 독서모임을 한다든지 매월 1회씩 모여서 문화적 감수성 향상을 위한 노력들을 하고 있습니다.
더불어서 연간 2회 문화 예술 부분의 동문들과 모여서 문화 예술제를 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의 아티스트들, 동문 출신 아티스트들이 모여서 함께 문화예술제를 하고 그것을 공유하고 서로의 문화 예술 분야의 지식들을 향상 시키려고 하는 노력들을 연례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습들이 문화 예술 전체 분야에서 풍성한 발전과 더불어서 문화예술경영학과를 이끄는 힘이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여러분들이 그 창의적 사고와 문화적 혁신을 꿈꾸는 인재들이 함께 모여서 고려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에서 함께하기를 바랍니다.
-
문화산업
-
예술경영
-
미디어 경영
-
문화향유 & 예술감상
-
전공 기초
학습 멘토링
-
전공 핵심
학습 멘토링
-
전공 심화
Culture & Insight 특강
-
전공 응용
자격증 & 문화예술 창업세미나
- 문화예술기획·제작 트랙
- 문화예술 기획과 제작 등 창작 및 향유 능력 함양 트랙
- 미디어·플랫폼 경영 트랙
- 문화콘텐츠와 관련된 미디어, 플랫폼, CT 등을 활용한 비즈니스 전문과정 트랙
- 문화예술경영 트랙
- 문화예술의 기획, 제작, 유통, 소비 전 과정에 필요한 이론과 실무를 통한 실질적 경영 능력 함양 트랙
-
우수한 전문 교수진
문화예술경영 분야 최고의 전문가로 구성된 교수진의 체계적 교육 및 전담 지도
-
문화예술 현장 탐방
공연, 전시, 생활예술 프로그램 등 다양한 문화예술 현장을 탐방하고 지식 공유와문화예술 향유
-
K-문화 스튜디오(KCS)
함께하는 문화 탐방, 매월 1회 문화예술경영학과재학생을 중심으로 박물관, 미술관, 문화유적지,문화예술 이벤트 현장 등을 탐방
-
Culture & Insight 특강
현장 경험과 실무지식을 강화하기 위해 문화예술분야의 전문가를 초빙하여 매 학기오프라인 특강 개최
-
선배와 함께 하는
‘Culture & Arts Talk’&
‘고려문화콘텐츠 연구회'재학생과 졸업생의 소통을 통한 친목 도모,정보 교류, 인맥 형성, 학술 모임 활성화
-
폭넓은 부전공·복수전공 기회
관심 학과 부전공 · 복수전공을 통해 다방면 진로 진출 가능 / 다양한 자격증 취득 가능
Bachelor of Culture & Arts Management
-
문화예술기획
공공문화 기획
전시 및 공연기획
캐릭터
문화상품개발
-
미디어 · 플랫폼 비즈니스
미디어콘텐츠 제작 및 운영
SNS 콘텐츠 사업
플랫폼 사업
1인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사업
게임
영화
방송
음악
음악 · 연예 매니지먼트
애니메이션 등의 업무
-
예술단체 경영
문화예술시설 단체 운영
미술관 · 박물관 인력관리
프로그램운영
마케팅
-
대학원 진학
문화예술경영 전공 관련 대학원